2nd Seoul Dialogue: Over 200 Private Sector Representatives Discuss How to Create Inclusive Workplaces that Attract and Retain Women Talent in the Republic of Korea

Date:

English | 한국어

Seoul, Republic of Korea — On September 24, the UN Women Centre of Excellence for Gender Equality (the Centre) hosted the 2024 UN Women Seoul Dialogue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under the theme, "How to Create Inclusive Workplaces that Attract and Retain Talent." Building on last year’s focus on key industries, this year’s dialogue brought together over 200 private sector participants to explore practical strategies for creating workplaces where women can join, thrive, and advance.

Participants in the 2nd UN Women Seoul Dialogue: ‘How to Create Inclusive Workplaces that Attract and Retain Talent’ hosted by UN Women Centre of Excellence for Gender Equality in the Republic of Korea. Photo: UN Women/Hwang Chang Kyu

Opening the event, Jeongshim Lee, Director of the Centr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gender equality in achiev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by 2030, and noted that "gender equality is essential for boost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In her congratulatory remarks, Michelle Winthrop, Ambassador of Ireland to the Republic of Korea, stressed: “Evidence suggests if you can [help] women through [the] tough years [of pregnancy and childcare], you buy an additional 15-20 years of high-performing talent. Otherwise, they are lost forever.” She also argued that: "We need to make it acceptable for women to harbour professional ambition and still be good moms.”

Photo: UN Women/Hwang Chang Kyu
(from left) Ahjung Lee, External Relations Specialist, UN Women Centre of Excellence for Gender Equality; Gwanheum Song, Managing Director, Body, Exterior and Chassis Engineering function, GM Korea; Kumjoo Huh, G20 Empower Alliance Korea Private Sector Representative & External Affairs Officer of Kyobo Life Insurance; Jeong Eun Shin, Vice President, LG Electronics; and Yongha Oh, Vice President, LOTTE Corporation. Photo: UN Women/Hwang Chang Kyu

In the first session, leaders from four companies engaged in an interactive dialogue with moderator Ahjung Lee from UN Women. They shared insights on how their organizations have successfully nurtured women’s talent and fostered a corporate culture that enhances work-life balance for both women and men.

Gwanheum Song, Managing Director of Body, Exterior, and Chassis Engineering at GM Korea, stressed that, based on research, cultivating an inclusive work environment is essential for driving corporate growth.

Kumjoo Huh, G20 Empower Alliance Korea Private Sector Representative and External Affairs Officer at Kyobo Life Insuranc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clusivity, stating, "To meet rapidly changing customer demands, we need innovative products and services, which are best developed in a culture of inclusivity."

Yongha Oh, Vice President of LOTTE Corporation, shared the company’s automatic parental leave policy, which alleviates the burden on employees by making leave applications seamless and normalized for both women and men. After a decade of implementing this policy, LOTTE achieved a birthrate of 2.05 per 100 employees and their spouses—more than double the Korean national average.

Jeong Eun Shin, Vice President of LG Electronics, highlighted how policies such as parental leave for men and flexible work arrangements can create an environment conducive to attracting and retaining talents, both women and men, thereby boosting the company’s global competitiveness.

Photo: UN Women/Hwang Chang Kyu
(from left) Janelle Weissman, Head of External Relations at UN Women Regional Office for Asia and the Pacific; Tara Shrestha Carney, Economist and Author of the PwC Women in Work Index (2019–2024); Jonghun Sun, DEI Initiative Team Lead at Root Impact and Ph.D. in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Fiona Lee, People Data Scientist at Pinterest (participating virtually). Photo: UN Women/Hwang Chang Kyu

In the Expert Presentations Session, led by Janelle Weissman, Head of External Relations at UN Women Regional Office for Asia and the Pacific, experts shared their latest research findings. Tara Shrestha Carney, Economist and Author of the PwC Women in Work Index (2019–2024), opened the session with a compelling presentation on the economic benefits of gender parity. "Closing the gender pay gap could increase total income for women across OECD countries by $2 trillion annually," she explained.

Fiona Lee, People Data Scientist at Pinterest, shared how women receive 22% more feedback focused on personality traits and are seven times more likely to receive negative feedback compared to men. Drawing from her research, s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behavior- and data-driven evaluation standards to ensure fair and equitable performance assessments.

Jonghun Sun, Root Impact DEI Initiative Team Lead, presented research demonstrating that skills gained through childcare and household responsibilities—such as communication and multitasking—equip mothers with valuable competencies essential for professional success. She advocated for redefining the qualities of a "good employee," emphasizing that women with career gaps due to caregiving should be recognized as “talent” rather than being perceived as having career interruptions.

Photo: UN Women/Hwang Chang Kyu
(from left) Katja Freiwald, Women's Economic Empowerment & Migration Lead, UN Women Regional Office for Asia and the Pacific; Okkeun Cho, Senior Manager, People Strategy Team, Lotte Group; Maheran Ahmad, Senior Manager,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Deloitte Southeast Asia & Asia Pacific; Jeongtae Kim, CEO, Merry Year Social Company; Ahjung Lee, External Relations Specialist, UN Women Centre of Excellence for Gender Equality (from the left); and Heidi Xu, APAC HR Solution Director & APAC Chair of Women Inclusion Network, Dow. Photo: UN Women/Hwang Chang Kyu

Following the two main sessions, two thematic workshops were held.

The first workshop, led by Katja Freiwald, Women's Economic Empowerment & Migration Lead at the UN Women Regional Office for Asia and the Pacific, explored effective DEI policy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drawing on examples from Women’s Empowerment Principles (WEPs) signatories.

Jeongtae Kim, CEO of Merry Year Social Company (MYSC) in ROK, shared how his organization is using a WEPs-based pre-investment screening tool co-developed with the Centre. "We try to use our power and influence as an investor to set WEPs as a standard so that our investees become more committed to gender equality," he explained.

Okkeun Cho, Senior Manager of the People Strategy Team at Lotte Group, further elaborated on the philosophy behind Lotte’s long-term implementat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and the importance of sustaining a policy over a long term.

Maheran Ahmad, Senior Manager for DEI at Deloitte Southeast Asia & Asia Pacific, presented how implementing DEI KPIs within the WEPs framework has provided clarity on the company’s progress and areas for improvement and thereby helped them create a better workplace culture.

Heidi Xu, APAC HR Solution Director and APAC Chair of the Women Inclusion Network at Dow, shared the company’s neutral interviewers initiative to reduce biases in recruitment and attract more diverse talent. This program ensures that all interview panels include a trained, neutral interviewer to promote inclusive interviewing and fair processes.

Photo: UN Women/Hwang Chang Kyu
Gary Ford, Co-founder of Men for Inclusion explains inclusive team building. Photo: UN Women/Hwang Chang Kyu

The second workshop focused on inclusive leadership and team building, featuring Gary Ford, Co-founder of Men for Inclusion and Inclusive Leadership Consultant at the Centre. Drawing on compelling survey results, he illustrated how ‘accidental sexism’ persists across the private sector and stressed the critical need to foster an inclusive culture where everyone feels they have a fair opportunity to pursue the career they aspire to. He shared practical tips to help participants make conscious efforts to become inclusive leaders. “If you want your organization to be recognized as a leader in inclusive culture, you must take the lead personally,” he urged.

 

제2회 유엔여성기구 서울담화: 200여 명의 민간부문 대표들, 여성 인재 유치와 유지를 위한 포용적 일터 조성 방안 논의 

날짜: 2024.12.04

English | 한국어

유엔여성기구 성평등센터(이하 센터)는 9월 24일 ‘여성과 함께하는 포용적 일터의 미래’라는 주제로 2024 유엔여성기구 서울 담화를 개최했다. 주요 산업에 초점을 맞췄던 작년의 논의를 발전시켜, 올해 담화는 200명 이상의 민간부문 참가자들이 모여 유능한 여성들이 참여하고 성장할 수 있는 직장 환경 조성을 통해 기업 성장과 국가 경제에 대한 여성의 기여를 극대화하는 실천적 방안을 논의했다.

200명 이상의 참가자가 ’제2회 유엔여성기구 서울 담화: 여성과 함께하는 포용적 일터의 미래‘에 참여했다. 사진: 유엔여성기구/황창규

다양성과 포용성에 대한 모범 사례가 널리 알려져 있음에도 지속 가능한 이행이 어렵다는 점을 인식하여, 올해 담화는 여성 인재 유치 및 유지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접근법에 중점을 두었다. 패널 토론, 연구 결과 발표, 주제별 워크숍을 통해 참가자들은 전문가들과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하는 기회를 가졌다.

개회사에서 이정심 센터 소장은 2030년까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과 한국의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성평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성평등이 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언급했다.

미셸 윈스롭 주한 아일랜드 대사는 축사에서 "여성들이 [생애주기에 따른] 어려운 시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면, 15-20년의 고성과 인재를 확보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면 이들을 영원히 잃게 된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직장인 어머니들이 일과 육아를 병행하며 꿈을 이뤄갈 수 있다는 것을 사회적으로 인정하고 지지해야 하며, 이들이 끊임없이 죄책감을 느껴야 한다는 통념을 타파해야 한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가 한국의 출산율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차이를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Photo: UN Women/Hwang Chang Kyu
(왼쪽부터) 이아정 유엔여성기구 성평등센터 대외협력 프로그램 팀장, 송관흠 제너럴모터스 (GM) 한국사업장 보디, 익스테리어, 샤시설계본부 전무, 허금주 G20 엠파워 얼라이언스 한국 대표 & 교보생명 대외협력담당 전문위원 (전무), 신정은 LG전자 CTO 부문 LDF연구실 상무, 오용하 롯데지주 HR혁신실 상무. 사진: 유엔여성기구/ 황창규

첫 번째 세션인 임원급 담화에서는 이아정 유엔여성기구 성평등센터 대외협력 프로그램 팀장의 진행 아래, 4개 기업의 리더들이 여성 인재 육성과 남녀 모두의 일과 삶 균형을 높이는 기업 문화 사례를 공유했다.

송관흠 제너럴모터스 (GM) 한국사업장 보디, 익스테리어, 샤시설계본부 전무는 GM한국사업장이 15년 이상 조직 전반에 걸쳐 다양성과 포용성을 구현하기 위해 기울인 노력을 공유했다. 그는 연구 결과를 인용하며 포용적 근무 환경이 기업 성장의 핵심임을 강조했다.

허금주 G20 엠파워 얼라이언스 한국 대표 & 교보생명 대외협력담당 전문위원 (전무)은 회사 내외의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EI)을 옹호해 온 평생의 경험을 공유했다. 그는 "빠르게 변하는 고객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가 필요하며, 이는 포용적인 문화에서 가장 잘 개발된다"고 설명하며 DEI 문화를 확립하기 위한 실질적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오용하 롯데지주 HR혁신실 상무는 가족친화적 직장 문화를 확립하기 위한 롯데그룹의 오랜 여정을 설명했다. 자동 육아휴직정책을 10년 넘게 시행함으로써 여성과 남성 모두가 자연스럽게 육아휴직을 활용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했고, 이에 힘입어 롯데그룹 직원과 배우자를 합한 출산율이 100명당 2.05명으로 한국 평균의 두 배 이상을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직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효과적인 정책이 인구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신정은 LG전자 CTO 부문 LDF연구실 상무는 육아휴직과 일・가정 양립에 대한 관심은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 직원들 사이에서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남성 육아휴직, 유연근무제, 리더십의 지원과 같은 정책들이 사내 문화적 변화를 만들고, 인재를 유치하고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환경을 조성한다고 강조했다.

Photo: UN Women/Hwang Chang Kyu
(왼쪽부터) 자넬 바이스만 유엔여성기구 아시아태평양 지역사무소 대외협력국장, 타라 스레샤 카르니 경제학자 & PwC ’여성 고용 환경 지표' 연구 보고서 저자 (2019-2024), 이피어나 피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선종헌 루트임팩트 DEI 이니셔티브 팀장 & 산업 및 조직심리학 박사. 사진: 유엔여성기구/ 황창규

다음으로 자넬 바이스만 유엔여성기구 아시아태평양 지역사무소 대외협력국장이 진행한 두 번째 세션에서는 전문가들이 연구 결과를 공유했다. 먼저 PwC ‘여성 고용 환경 지표' 연구보고서 저자 (2019-2024)인 타라 스레샤 카르니 경제학자는 성평등한 직장 조성이 가져올 경제적 이익을 보여주는 데이터를 발표했는데, "성별 임금 격차를 해소하면 OECD 국가 여성들의 총소득이 연간 2조 달러 증가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문제해결의 시급성을 피력했다.

이피오나 피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성과 평가에서의 성별 편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공유하며, 여성이 성격에 대한 피드백을 22% 더 많이 받고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가능성이 7배 더 높다고 밝혔다. 그는 연구를 바탕으로 공정한 성과 평가를 위해 행동과 데이터 기반의 평가 기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선종헌 루트임팩트 DEI 이니셔티브 팀장은 육아와 가사노동을 통해 개발되는 의사소통과 멀티태스킹 능력은 유급 노동에 필요한 기술을 갖춘 매우 유능한 전문가를 생성한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따라서 '좋은 직원'의 기준을 재고하고 돌봄 노동으로 인한 경력 중단을 경험한 여성을 “경단녀”가 아닌 회사 업무에서 유용한 능력을 탑재한 '인재'로 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Photo: UN Women/Hwang Chang Kyu
(왼쪽부터) 카챠 프라이발드 유엔여성기구 아시아태평양 지역사무소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 및 이주국장, 조옥근 롯데지주 HR혁신실 수석, 마헤란 아마드 딜로이트 동남아시아·아시아태평양 지역 DEI 부분 선임 관리자, 김정태 MYSC 대표, 이아정 유엔여성기구 성평등센터 대외협력 프로그램 팀장, 헤이디 수 다우 아시아태평양 지사 인사 (HR) 솔루션 이사 & 아시아태평양 지역 여성 포용성 네트위크 의장. 사진: 유엔여성기구/ 황창규

주요 세션 이후에는 두 개의 주제별 워크숍이 진행되었다.

카챠 프라이발드 유엔여성기구 아시아태평양 지역사무소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 및 이주국장이 진행한 첫 번째 워크숍에서는 여성역량강화원칙(WEPs) 서명 기업들의 사례를 통해 효과적인 DEI 정책 개발과 이행 방안을 논의했다.

이아정 유엔여성기구 성평등센터 대외협력팀장은 MYSC와 협력하여 센터가 개발한 WEPs사전 자가진단표(안) 발표를 통해 WEPs의 원칙을 쉽게 이해하고, 도입하며, 평가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했다. 이어 김정태 MYSC 대표는 MYSC가 이 자가진단표(안)를 투자 전 심사 도구로 활용하기 시작한 사례를 설명했다. 그는 "투자자로서의 영향력을 활용하여 WEPs를 투자 적격 심사의 기준으로 설정함으로써 투자 대상 기업들이 성평등에 더욱 전념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싶다” 고 밝혔다.

조옥근 롯데지주 HR혁신실 수석은 롯데그룹의 지속적인 가족친화정책 이행 배경에 대한 철학을 추가로 설명하며 ‘지속성’을 특히 강조했다. 그는 "만약 저출산 문제 해결만을 위해 또는 시대의 흐름을 따라 복지 정책을 시행했다면, 우리의 노력은 실패했을 것이다. 우리가 중요하다고 믿는 것을 해마다 지속하려는 최고 경영진의 의지가 성공의 핵심이었다"고 언급했다.

마헤란 아마드 딜로이트 동남아시아·아시아태평양 지역 DEI 부분 선임 관리자는 WEPs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만든 DEI 핵심성과지표( KPI) 이행이 회사의 현재 상황과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명확히 보여주었다고 발표했다. 그는 "직원 참여 설문조사 결과, 직원들이 더 소속감을 느끼고, 가치 있게 여겨지며, 의견이 경청된다고 느낀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KPI가 단순히 수치 목표를 달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더 나은 직장 문화를 조성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강조했다.

헤이디 수 다우 아시아태평양 지사 HR 솔루션 이사는 채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편견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모든 면접 패널에 포용적 면접과 공정한 절차에 대해 교육받은 중립 면접관 한 명이 반드시 참여하도록 만든 다우의 중립 면접관 이니셔티브를 공유했다. 그는 이러한 제도가 다양하고 유능한 인재를 유치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설명했다.

Photo: UN Women/Hwang Chang Kyu
개리 포드 유엔여성기구 성평등센터 포용적 리더십 컨설턴트 & 맨 포 인클루전 (Men for Inclusion) 공동 설립자가 포용적 리더십과 팀 빌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유엔여성기구/황창규

두 번째 워크숍은 작년 서울담화에서 큰 호응을 얻었던 개리 포드 맨 포 인클루전(Men for Inclusion) 공동 설립자와 함께 "포용적 리더십과 팀 빌딩"을 주제로 진행했다. 그는 '무의식적 성차별'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모든 사람이 원하는 경력을 쌓을 수 있고 공정한 기회가 있다고 느끼는 포용적 문화를 조성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참가자들에게 포용적 리더가 되기 위한 구체적인 조언을 제공하고, "만약 당신의 조직이 포용적 문화의 선도자로 인정받기를 원한다면, 바로 당신이 직접 앞장서서 이끌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Resources

In social media

LinkedIn | Naver Blog (Korean)

In videos

Recording: 2024 UN Women Seoul Dialogue | English
Recording: 2024 UN Women Seoul Dialogue | Korean
More videos